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일반대학원
AIMS2
English
학과소개
교수진
입학/장학
교육
열린마당
의생명과학과
세계를 이끄는 아주人으로!
학과소개
아주 안에서 내일을 밝히는 등불이 되어라!
세계를 이끄는 아주人으로!
교수진
교수님의 논문과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입학/장학
21세기 Global Leader의 산실
아주대학교 대학원 의생명과학과입니다
교육
대한민국을 이끄는 아주人에서
세계를 이끄는 아주人으로!
열린마당
Notice / Calendar / Gallery 등의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세요
학과 소개
인사말
의생명과학과 소개
전공소개
연구시설
오시는길
교수진
교수진
입학/장학
입학안내
Admiss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장학제도
대학생활
교육
통합 교과과정 체계 (i-ABC)
교과목 소개
교육과정 소개
졸업요건
열린마당
Notice
Calendar
News & Publication
Gallery
자료실
주요 학사안내
입학안내
Admission
교육과정
장학
졸업
서식자료실
강의실 예약
About Us
아주대학교 대학원 의생명과학과의 각 전공을 소개합니다
분자의학
분자의학
난치성 질환 극복을 위한
분자세포 및 유전자 수준의
연구 능력 배양
<Core Courses>
면역학,
대사생물학
난치성 질환의 분자생물학적 이해
신경과학
신경과학
국내 최초 및 최고의
신경과학 대학원 교육 프로그램
<Core Courses>
신경계 구조 및 발생,
분자 및 세포신경생물학Ⅰ,Ⅱ,
신경생리학
우리나라 뇌연구의 미래
종양생물학
종양생물학
암에 대한 통합적 연구를 수행하는
전문 연구 인력 양성
<Core Courses>
종양생물학개론 Ⅰ,Ⅱ,
세포주기와 세포사멸
암의 심층적이해, 암예방 및 치료법 개발
의생명정보 및 융합의학
의생명정보 및 융합의학
의료정보와 시스템바이
올로지, 융합의학분야
의 차세대 리더 양성
<Core Courses>
생물정보학,
의료정보학 개론 Ⅰ,Ⅱ,
유전체의학
의료정보와 시스템바이올로지, 융합의학분야
News & Publication
홍지만 교수·김민 임상강사, 대한신경초음파학회 학술대회 최우수 구연상 수상
신경과 홍지만 교수·김민 임상강사 팀이 지난 7월 3일 백범기념관에서 열린 대한신경초음파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최우수 구연상을 수상했다. 연구팀은 불량측두창으로 인해 뇌혈류 초음파를 통한 난원공 개존 진단이 어려웠던 환자에서 특수 제작한 헤드셋을 이용하여 지금까지 측정할 수 없었던 후두하창을 측정하고 그 유용성을 밝혀 학술적 우수성을 인정받았다(논문명: Simultaneous monitoring for middle cerebral artery and basilar arteries by transcranial Doppler using agitated saline injection to detect right-to-left shunt). 한편, 젊은 뇌졸중 환자의 중요한 발병 원인 중 하나인 ‘난원공 개존’은 산모의 혈액이 태아의 심장으로 들어가기 위한 구멍인 난원공이 출생 이후에도 폐쇄되지 않고 남아있는 질환이다. 이 경우 폐로 가야할 피가 비정상적으로 우심방에서 좌심방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혈전이 뇌로 가면 뇌졸중을 일으킬 수 있다.
조혜성 교수, 의과대학 발전기금 2천만 원 기부
생화학교실 조혜성 교수가 의과대학 발전기금으로 2천만 원을 기부했다. 조혜성 교수는 지난달 생화학분자생물학회 학술대회에서 동헌생화학상 수상으로 받은 상금 2천만 원 전액을 기부했으며, 송재관 강의실과 세미나실의 노후 시청각장비를 교체하는 등 의과대학 학생들의 교육 환경을 개선하는 데 사용해 달라고 전했다. 한편, 발전기금 전달식은 지난 6월 24일 송재관 초현재에서 열렸다.
이수영 교수팀, 2021 KAPARD-APAPARI Joint Congress 최우수 포스터상 수상
의학과 프레브산 간톨가(Purevsan Gantulga) 대학원생과 소아청소년과학교실 이수영·정경욱 교수팀이 지난 5월 20일부터 22일 개최된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아시아태평양 소아알레르기 호흡기 면역학회 공통 학술대회(KAPARD-APAPARI Joint Congress)에서 최우수 포스터상을 수상했다. 연구팀은 ‘다양한 조리 방법에 의한 난백의 알레르기 항원성 감소(Evaluation of egg white ladder: reduced allergenicity by various cooking methods)’ 연구를 통해 삶은 계란, 스크램블 계란, 구운 계란 등 가열 형태에 따라 난백의 알레르기 항원성이 현저하게 변화함을 확인했으며, 이러한 조리법을 적용하여 식품 알레르기 환자에게 더욱 안전하고 질 높은 식이 처방을 제공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한편, 이날 학술대회에서 정경욱 교수는 심포지엄 초청 연자로 ‘소아 청소년의 씨앗류 및 견과류 알레르기(Seed and nut allergies in children)’를 발표했으며, 이수영 교수는 플래너리 강연 초청 연자로 ‘식품 알레르기 진단의 새로운 관점(New perspective in diagnosis of food allergy)’을 발표했다.
생화학교실 김유선 교수팀,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실 지원사업 선정
의과대학 생화학교실 김유선 교수팀(병리학교실 이다근·김석휘 교수)이 한국연구재단 2021년 기초연구실(심화형) 지원사업에 선정됐다. 최종 선정된 연구 과제명은 ‘면역원성 세포사멸 프로그램 연구실’로 2021년 6월부터 2024년 2월까지 13억 7천 5백만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김유선 교수팀은 면역원성 세포사멸(Immunogenic Cell Death, ICD) 프로그램을 통해 체내 면역세포를 활성화해 암세포를 제거하는 항암면역을 구현하기 위해 ICD 단백질의 분자·세포생물학 기반의 신호 경로를 발굴 및 조절하고 광유전학(Optogenetics)에 기반한 ICD 단백질의 시공간적 특이 조절, 암 미세환경의 병리학적 분석과 항암 면역 활성화 효과를 검증할 예정이다.
심소윤 대학원생, 대한면역학회 국제학술대회서 웅비차세대연구자상 수상
알레르기내과학교실 박해심 교수팀의 심소윤 대학원생(석박사통합과정)이 6월 2일부터 4일 서울 스위스 그랜드 호텔에서 진행된 2021 대한면역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제2회 웅비차세대연구자상을 수상했다. 이 상은 국내에서 수행한 연구 성과물을 바탕으로 면역학 분야의 학문적 발전에 공헌한 연구교수와 박사급 이하 연구원, 대학원생을 선발해 수여하는 상이다. 수상한 논문 제목은 ‘Contribution of dipeptidyl peptidase 10 to airway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aspirin-exacerbated respiratory disease’로, 연구팀은 아스피린 과민성 천식 환자에서 디펩티딜 펩티다제-10(dipeptityl peptidase, DPP10)이 기도의 염증과 개화를 악화시킬 수 있음을 규명하고, 향후 새로운 치료 표적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했다. 본 연구는 연구중심병원 육성과제 지원을 받아 진행했다.
피부과, 대한피부과학회 춘계학술대회서 다수 수상
아주대학교병원 피부과 의료진이 지난 4월 28일부터 29일 서울 드래곤시티에서 개최된 제72차 대한피부과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다수 수상하며 우수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았다. 강희영 교수팀(김태형 전공의)은 ‘실험실 기반 임상 사례를 통한 알리트레티노인의 기미 색소침착 악화(Alitretinoin(9-cis-retinoic acid) can worsen melasma: from bench to bedside)’를 발표해 최우수 포스터상을 받았다. 연구팀은 알리트레티노인이 멜라닌세포에서 MITF와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를 증가시켜 멜라닌 생성이 증가하는 것을 단백질과 유전자 수준에서 확인했다. 더불어 3차원 재조합 피부조직에서도 피부색소 증가를 확인하여 알리트레티노인의 색소침착 악화 가능성과 잠재적인 멜라닌 생성 자극원으로서의 치료제 가능성을 제시했다. 최우수 영어포스터 상을 수상한 김유찬 교수팀(이희라 전공의)은 ‘영아 피부 흑색종-희귀한 증례 보고(Infantile malignant melanoma-A case report of a rare occurrence)’ 논문을 통해 영아에서 흔하지 않은 흑색종에서 나타나는 임상적, 병리학적 특징을 발표하고 향후 흑색종 진단에 유용한 자료를 제시했다.
Notice
2022-1학기 수업평가 기간 연장 안내 (~7...
2022학년도 2학기 휴학·복학 및 수료자 ...
일반대학원 전과 신청 안내
의과대학, 싱가포르 국립대학 iHealthTec...
2022학년도 후기 석‧박사통합과정으로의 ...
2021학년도 후기(2022년 8월) 수료연기 ...
2022년 8월 대학원 졸업예정자 석·박사 ...
산학연병 협동프로그램 및 국제화 프로그...
Calendar
Gallery
아주대학교 대학원 의생명과학 학생들의 모습입니다
07
/ MAR
2022.03.04 의생명과학과 홍보영상 공모전 시상식
08
/ JAN
2021.11.26 Online open lab
08
/ JAN
2021.11.26 Online open lab
09
/ DEC
2019. 11. 25 Ajou Biomedical Research Fair
09
/ DEC
2019. 11. 25 Ajou Biomedical Research Fair
16
/ OCT
2019. 10. 11 Graduate Students' Day
< 의생명과학과 신입생 모집 >
오늘 그만 보기
< 의생명과학과 컨퍼런스 >
오늘 그만 보기